본문 바로가기

ETC

추석의 의미와 차례상 차리는 법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추석의 의미와 차례상 차리는 법

추석의 의미와 차례상 차리는 법



추석의 의미와 차례상 차리는 법


 

 

 

명절 차례상 '5열 7원칙' 기억하자

해마다 돌아오는 명절이지만 차례상 차리기는 늘 어렵게 느껴진다.

제수 마련은 기본적으로 필요한 음식에 조상이 좋아했던 음식을 따로 준비하면 된다.

 

기름에 튀기거나 부친 음식을 뜻하는 전(煎), 고기 생선 두부 등을 기름에 지지거나 석쇠에 구워 꼬치에 꿴 적(炙) 등 품이 들어가는 음식은 차례 하루 전에 미리 마련해둔다.

파, 마늘, 고춧가루 같은 짙은 양념은 쓰지 않는 게 원칙이다.

 

 

기본 상차림은 다섯 줄이다.

첫째 줄,

신위가 있는 쪽부터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놓는 반서갱동(飯西羹東)의 원칙에 따라 놓는다.

설에는 일반 제상의 메(밥) 대신 떡국을 올리는 것이 특징이다.

둘째 줄,

어동육서(魚東肉西)의 원칙에 따라 적과 전을 놓는다. 두동미서(頭東尾西)의 원칙에 따라 머리와 꼬리가 분명한 제수는 동쪽(오른쪽)으로 머리가 가고 꼬리는 왼쪽으로 가게 놓는다.

 

셋째 줄,

탕 종류를 놓는다.

 

넷째 줄,

좌포우혜(左脯右醯)라 하여 상 왼편에 포(북어, 대구)를, 오른편에 침채(나박김치)를 둔다.

어포를 쓸 때는 생선 배가 아래로 향하게 담는다.

가운데는 숙채(삶거나 쪄서 익힌 나물)를 둔다.

간장도 가운데 놓는다.

식혜는 건더기만 담아야 한다.

 

다섯 째 줄,

과일이 놓인다.

과일은 반드시 홀수로 올린다.

홍동백서(紅東白西)의 원칙에 따라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조율시이(棗栗枾梨) 원칙에 맞춰 상 왼쪽부터 대추, 밤, 곶감, 배의 순서로 놓기도 한다. 차례는 제사와 달리 술을 한번만 올린다.

 


명절 차례 절차

 

차례 지내기 절차는 젊은층일수록 잘 모르는 경향이 있고 차례를 지낼때마다 헷갈리는 것이 사실입니다.
또한 차례지내기 순서는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없죠.
건양대학교 예학교육연구원이 제시하는 차례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영신(迎神) :

 

제사상의 뒤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사상 위에 제사 음식을 차린다.

지방을 써 붙이고 제사 준비를 마친다.

 

2. 강신(降神) :

 

제주가 분향하고 재배(두 번 절)한 후, 모사(모래)그릇에 술을 세 번 붓고 다시 재배(두번 절)한다.

 

3. 참신(參神) :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로서 참석자 전원이 재배(두번 절)한다.

 

4. 진찬(進饌) :

 

떡국을 올린다. (추석 때는 송편과 토란국을 올린다.) 기제사는 밥과 국을 올린다.

 

5. 초헌(初獻) :

 

제주가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붓는다.

제주는 잔을 들어 향불 위에 세 번 돌리어 놓고, 제물 위에 시접을 한 후 제주가 두 번 절한다.

잔은 합설인 경우 고위(考位) 앞에 먼저 올리고 비위(妃位) 앞에 올린다.

(설날과 추석은 명절제사 즉, 차례이다.

차례는 단잔이므로 아헌과 종헌을 하지 않는다.)

 

6. 계반삽시(啓飯揷匙) :

 

열 계, 밥 반, 꽂을 삽, 숟가락 시 - 계반삽시란 메(밥)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는 것을 말하는데, 그러므로 떡국이나 송편을 올릴 때는 뚜껑이 있는 사발에 올리는 것이 좋을 것이다.

삽시정저(揷匙正箸)라고도 한다.

주부가 떡국, 송편 중앙에 숟가락 바닥(안쪽)이 동쪽을 향하게 꽂고, 젓가락은 어적이나 육적 그릇 위에 가지런히 놓고 제주는 2번, 주부는 4번 절한다.

 

7. 헌다(獻茶) :

 

바칠 헌, 차 다 - 제주는 갱(떡국, 토란국)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 뒤 숟가락을 숭늉 그릇에 담가 놓은 후 젓가락을 고른다.

모든 참석자는 머리를 숙이고 잠시 동안 조용히 앉아 있다가 고개를 든다.

 

참고 :

 

기제사에서는 숭늉을 올린 뒤 메(밥)를 숭늉에 조금씩 3번 떠서 말아 놓고 숟가락을 숭늉 그릇에 담가 놓은 후 젓가락을 고른다.

모든 참석자는 머리를 숙이고 잠시 동안 조용히 앉아 있다가 고개를 든다.

 

8. 철시복반(撤匙復飯) :

 

숭늉 그릇에 놓인 숟가락과 제수(祭需)에 올린 젓가락을 거두어 시접에 바로 놓은 후 메(밥, 떡국, 송편) 그릇의 뚜껑을 덮는다.

 

9. 사신(辭神) :

 

모든 참석자가 두 번 절한 뒤 모사(모래)그릇에 지방을 불사른다. '안녕히 가십시오'라는 작별 의식으로 차례를 올리는 절차가 모두 끝난다.

 

10. 철상(撤床)과 음복(飮福) :

 

제사상을 물리고 참석자가 모여앉아 제사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음복(飮福)이란 조상께서 주신 복된 음식이라는 뜻으로 제사가 끝나면 모든 참석자와 가족들이 모여서 시식을 한다.

또한 친족과 이웃에도 나누어 주고 이웃 어른을 모셔다 대접하기도 한다.

 

 

명절 차례상 '5열 7원칙' 기억하자

 

명절 차례상 차림은 가가례(家家禮)에 따른다.

 

지방에 따라, 가풍에 따라 조금씩 형식이 다르다는 이야기다.

그래도 대동소이하다.

설 차례상이 일반 제사상과 가장 크게 다른 점은 메(밥) 대신 떡국을 올린다는 점이다.

이 점을 제외하면 제사상 차리는 원칙을 준용해도 된다.

차례상은 북쪽에 둔다.

젊은 후손이라면 집안의 어른이 차례 때 따르는 ‘5열 7원칙’을 기억해 두면 좋다.

  • 설 차례상엔 밥 대신 떡국 올려…상차림은 열마다 홀수로 배열
    복숭아·‘치’로 끝나는 생선 금물…고춧가루·마늘도 사용하지 않아

     

    추석의 의미와 차례상 차리는 법



 

 

 

7원칙은 4자의 한자로 표현된다.

 

 

음식 배열에 관한 성어가 주된 말들로 표현은 이렇다.

먼저 좌포우혜(左脯右醯).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에 둔다.

생선과 고기의 위치를 설명한 어동육서(魚東肉西)에 따라 어류는 동쪽, 육류는 서쪽에 둔다.

머리와 꼬리가 구별되는 음식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둔다.

두동미서(頭東尾西)라 한다.

조율이시(棗栗梨枾)는 과일 배치 순서로 대추·밤·배·감의 순서로 둔다.

색깔에 따른 분류도 있다.

홍동백서(紅東白西)로, 붉은 색깔의 과일은 동쪽, 하얀색 과일은 서쪽에 둔다.

날것과 익힌 것에 따른 자리 배치는 생동숙서(生東熟西)를 따른다.

김치는 동쪽, 익힌 나물은 서쪽에 둔다.

밥과 국의 위치를 표현한 좌반우갱(左飯右羹)에 따르면 밥은 왼쪽, 국은 오른쪽에 둔다.

이때 지방(신위)을 모신 곳이 북쪽, 제주(祭主)가 상을 봤을 때 오른쪽이 동쪽이다.


상차림은 총 5열이 기본이다.

 

 

제주와 가장 멀리 있는 곳을 1열로 삼는다.
상차림은 열마다 홀수로 배열한다.

 

신위를 기준으로 1열에는 밥과 잔을 올린다.

반서갱동의 원칙이 적용된다.

서쪽부터 떡국 잔반(술잔과 받침대) 시저(숟가락과 젓가락) 잔반 떡국을 놓는다.

2열에는 어동육서에 따라 국수 전 육적(고기 구운 것) 소적(채소 구운 것) 어적(생선 구운 것) 고물 떡을 놓는다.

이때 두동미서 원칙에 따라 생선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차례는 옛날에는 조상에게 차를 올리는 의식이었다.

설날은 추석과 일반 제사와 마찬가지로 일련의 행사 속에 차례가 포함됐다.

형식과 절차는 간소하게 변하더라도 후손들이 뜻을 잇고 있는 이유다.

 

3열에는 주로 탕을 놓는다.

탕의 개수는 1, 3, 5와 같은 홀수로 맞춰야 한다.

고기 채소 생선을 끓인 육탕 소탕 어탕을 놓는다.

4열에는 좌포우혜와 생동숙서의 법칙이 통용된다.

서쪽 첫 번째에는 북어, 고기, 오징어, 문어 중 한 가지를 말린 포로 놓는다.

이어 숙채, 청장(간장), 침채(흰 나박김치), 식혜 건더기를 놓는다.

마지막 줄은 조율이시와 홍동백서를 따른다.

밤 배 곶감 약과 강정 사과 대추를 차례대로 놓는다.

제기에 과일을 올릴 때는 조상을 위해 정성으로 다듬어 놓는다는 의미로 홀수 개를 놓는다.

과일의 위아래는 깎아 놓는다.

상차림에는 시접과 잔반을 먼저 올린다.

향로와 향은 차례상 앞에 마련한 작은 상 위에 올려놓는다.

퇴주잔은 상 아래에 놓는다.

또 유의할 점이 있다.

복숭아와 ‘치’로 끝나는 생선은 사용하지 않는다.

잉어처럼 비늘이 있는 생선도 올리지 않는다.

과일 중에는 복숭아를 차례상에 두지 않는다.

고춧가루와 마늘 양념도 사용하지 않는다.

국물 있는 음식은 건지만 쓰고, 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을 쓴다.

박종현 기자 bali@segye.com

 

 

 

 

설과 추석 명절의 차례상 차리는법

 

 

 

 

설 차례상 차림(일명 : 떡국 제사)

 

 

 

 

추석 차례상 (일명 : 송편 제사)

 

 

 일반 기일 제례 차림 (일명 : 국밥 제사)

 

 

시대가 바뀌고 종교가 다르므로 꼭 똑같이 따를 필요는 없다.

하지만 근본은 알아야 변형이 가능하다.

차례상과 제사상에는 돌아가신 분이 생전에 좋아하시던 음식과 가족들이 즐기는 음식으로 대체해도 좋다.

 

차례상과 제사상의 표본은 옛날 시대에 그 시절에 음식을 위주로 한 것이고 지금 우리는 과거 당시의 기준으로는 미래 사람들이다.

 

'소고기 산적' 대신 '캔터키 후라이드치킨'을 올려도 되고...굴비 대신 '광어 회'를 올려도 좋다.

먹지도 않는 옥춘팔보(꽃무늬 사탕과 별모양의 사탕) 대신 과일사탕과 초콜렛으로...부침 대신 피자...(웃자고 하는 말이 아니다)

 

이렇게 고인이 생전에 좋아하던 음식으로 바꿔도 된다는 것이다.

 

다만, 이것을 핑계로 정성이 부족하지는 말자는 게 주장이다.

 

 

 

 

추석의 의미

 

 

우리 나라의 명절은 서양과는 달리 음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특히 보름달과 연관이 많습니다.

그 중에서도 음력 팔월의 보름달은 일년 중 가장 밝은 달입니다.

 

추석은 '한가위' '가위' '가윗날' '중추절' 가배' 등 많은 명칭이 있습니다.

추석은 설날, 단오절과 함께 우리나라 삼대 명절의 하나입니다.

추석이 다가오면 들판에는 오곡이 무르익고 과일들도 영그는 때입니다.

한 해 농사의 결실을 거두는 때이므로 모두들 새옷으로 갈아입고 햅쌀밥과 송편을 빚어 조상의 산소에 성묘하고 제사를 지냅니다.

 

우리 선조들은 조상님이 돌아가신 기제(忌祭)에 드리는 제사말고도 명절날 제사를 드리는 풍습이 있습니다.

정월 초하루의 설 차례, 한식날의 성묘, 백중에는 가까운 절을 찾아 제사 지내고, 추석, 음력 3월 3일, 9월 9일 등의 명절에 가족끼리 모여 제사를 지냈습니다.

서양의 명절과 가장 다른 점이 바로 이것으로 단순히 먹고 즐기는 축제가 아니라 생사가 둘이 아닌 도리를 되새겨 조상님과 후손이 함께 경건하게 치르는 차례의 문화였습니다.

 

만물이 풍성한 한가위 때는 만물이 다 풍성하게 열매 맺는 결실의 계절이므로 예로부터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 날만 같아라.'하는 속담이 있습니다.

 

 

추석의 의미와 상차림

 

추석에 대한 여러가지 의미와 유래가 많지만 추석의 기원은 고대로부터 있어 왔던 달에 대한 신앙과 농사와의 밀접한 관련에서 그 뿌리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또는 천자가 가을에 하늘에 계신 상제님과 조상님께올리는 천제에서 유래하였을 것이라는 것은 쉽게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천제天祭는 옛 상고시대에 나라임금이 하느님(상제님)께 올리던 제천행사였죠.

 

세시풍속에서 10월에 행해졌던 상달 고사는 고대 동이계국가들의 제천의식이 민간신앙과 합쳐져서 가정의제사의례로 변모하였던것입니다.

우리민족은 10월을 상달이라하여 으뜸달로 치며 제천의식을 행하였는데 삼한의 시월제, 고구려의동맹, 예의 무천, 부여의 영고 ,고려의팔관회들으로 이어져 왔습니다.

최근에는 동예의 무천 행사가 단군조선의 원래 풍속이었음이 밝혀졌습니다.

 

추석은 후일에 와서 신교神敎의 맥이 상실되어 상제문화가 단절이 되었지만 가을의 추수후 보름날 저녁에 보는 환한달 추석秋夕이라는 명절이 생겼을 것입니다.

고대에는 가정마다 상제님과 조상님께 산신 기지신에게도 제사를 올리게 된것이 후일에 가정에서는 조상에게만 올린것을 알수 있습니다.

추석이라는 말은 중국 고대의 유가(儒家)의 경전인 "예기(禮記)"의 조춘일(朝春日) 추석월(秋夕月)"에서 나온것이라는 설과, 중국에서 중추(仲秋), 추중, 칠석, 월석등의 말이 사용되었는데 중추의 추(秋)와 월석의 석(夕)을 따서 "추석(秋夕)"이라 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또한 천자가 가을저녁에 올리던 천제天祭로서의 의미가 있는데 우리민족이 천자국이었기에 본래 한민족의 고유명절이었음을 알수 있습니다.

최근 "추석(秋夕)"보다 옛 가베를 일러 "한가위"라고 불러오기도 했습니다.

 

추석날에는 1년 동안 농사를 지어서 그해 추수한 햅쌀로 송편을 빚고 밤, 대추, 배, 감, 사과 등 햇과일을 제상에 차려놓고 조상님께 한해의 수확을 감사드리는 차례를 지냅니다.


추석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토란탕, 오려송편, 밤단자, 대추단자, 은행단자, 석이단자, 토란단자, 무호박을 섞어서 만든 떡들이 있습니다.


또한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 무, 숙주 등을 이용한 갖은 나물과 어산적, 고기산적, 화양적, 누름적 등의 적(炙)이 있고, 버섯, 생선, 고기로 만드는 전(煎), 약포, 어포, 장포 등의 포(脯)와 햇김치와 물김치, 그리고 식혜, 수정과, 배숙, 화채, 유과, 다식, 정과, 밤초, 대추초, 율란, 조란, 외에도 생율, 대추, 사과, 배, 감, 포도 등의 햇과일 등이 있습니다.

 

- 송편: 송편은 하늘의 씨앗인 보름달과 알알이 여문 알곡을 뜻하기도 한다.

- 탕: 3탕은 天, 地, 人

- 도라지:‘도(道)를 알아라’는 뜻입니다.

- 고사리: 도(道)를 구하는 마음을 지금 이 시간부터 주저하지 말고 행하라는 의미입니다.

- 대추: 이치에 닿는 높은 사고의식으로 일을 하라는 의미입니다.

- 밤: 밤은 3알이 한 밤송이가 된다. 그래서 三 정승이 나오라는 의미입니다.

- 감: 씨가 6개로 六조 판서의 서열을 의미. 집안에 육조판서 감이 나오는 정도를 점칠 수 있음.

- 사과: 사과는 자비, 사랑을 뜻하며 모양이 하트형으로 "사랑"이라는 의미로 그 집안의 화목과 사랑의 정도를 알아보는 방법으로 쓰입니다.

- 배: 배는 색깔이 황금색으로 깨달음이며, 배는 수분이 많은데, 이 수분은 지혜를 의미합니다.

- 조기: 생선의 으뜸으로 생각되어져 왔기 때문에 제사상에 빠지지 않고 올립니다.

- 명태(북어포): 동해바다의 대표적인 어물이자 머리도 크고 알이 많아 훌륭한 아들을 많이 두고 알과 같이 부자가 되게 해 달라는데 유래가 있습니다

 

 

②-차례상 차리는 순서

 

차례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 지내는 제사와는 달리 설 추석 한식 동지 같은 명절에 지내는 제례임을 알아야 합니다.

따라서 차려놓는 음식도 다릅니다.

차례에는 제사 때처럼 메(제사밥)와 갱(국)을 쓰지 않고 절식으로 추석엔 송편, 설에는 떡국으로 상을 마련합니다.

절차도 일반제례보다 간소하고요.

차례상은 기(忌)제때와 거의 같으나 추석에는 밥 대신 햅쌀로 빚은 송편과 햇과일을 올리는 게 특징입니다.

 

일반적으로 추석차례상 차림은 지방과 가문에 따라 진설법이 다른데 신위를 모신 위치를 북쪽으로 간주해서 제주(祭主)의 위치가 남쪽, 제주의 오른쪽이 동쪽, 제주의 왼쪽이 서쪽이 됩니다.

남자자손들이 동쪽, 여자자손이 서쪽에 자리하고 가운데에는 동쪽에 주인, 서쪽에 주부가 선 다음 상차림을 시작합니다.

 

 

 

<진설법>

 

일반적으로 제주가 제상을 바라보아 오른쪽을 동(東), 왼쪽을 서(西)라 하고, 제사상 앞은 남(南), 지방 붙이는 쪽을 북(北)으로 삼습니다.

상을 놓는 순서는 맨 앞줄에 과일, 둘째 줄에 포와 나물, 셋째 줄에 탕(湯), 넷째 줄에 적과 전, 다섯째 줄에 메(밥)와 갱(국)입니다.


첫줄(1열) 에 과실과 조과(造菓)가 오르는데 조율이시(棗栗梨枾) 법이나 또는 홍동백서(紅東白西)라 하여 오른쪽에 대추·사과 등의 북은 과일을 놓고, 왼쪽에 밤·배 같은 흰색 과일을 진설합니다.

 

둘째줄(2열)은 좌포우혜(左脯右醯)왼쪽에 포, 오른쪽에 식혜·건지를 담아 올리고 나물류는 포와 식혜 사이에 놓고 맑은 국간장과 나박김치를 놓습니다.


셋째줄(3열)에는 육탕, 소탕, 어탕을 놓구요.


넷째줄(4열)에는 전과 적을 놓는데 적은 고기와 생선 및 닭을 따로 담지 않고 한 접시에 담아 합적(合梑)해서 올립니다.

배열은 어동육서(魚東肉西)라 하여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해야 합니다.


다섯번째줄(5열)인 신위 바로 밑에는 시접(수저를 남아놓는 대접)과 잔반(잔과 받침대)을 놓는데, 시접은 단위제의 경우에만 좌측에 올리고 양위 합제의 경우 중간 부분에 올립니다.

잔반 양편으로 송편을 소담스럽게 담아 놓습니다.


진설을 하는 순서는 시접과 잔반을 제일 먼저 올린 뒤 첫째 줄인 과실과 조과류 줄부터 차례로 놓아 가면 됩니다.

 

 

 

③-차례상 차리는 유의점

 


- 과실 중 복숭아는 제사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복숭아는 요사스런 기운을 몰아내고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전해지기 때문이죠)


- 생선 중에 '치'로 끝나는 꽁치, 멸치, 갈치, 삼치 등은 사용하지 않구요.


- 이면수 같은 비늘없는 생선을 올리지 않는데-다른 생선에 비해 비린내가 강하기 때문입니다.


- 잉어, 붕어처럼 비늘이 그대로 붙어있는 생선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 장어를 쓰지 않아요-이는 용과 그 모양이 비슷하여 왕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 마늘처럼 향이 강한 양념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 귀신을 쫒음 ^-^


- 붉은색(고춧가루)쓰지 역시 쓰지 않습니다. - 귀신이 싫어한다.

도라지나물도 하얗게 무치고, 닭찜도 간장으로만 조미하는 것.

붉은고추, 생고추. 풋고추도 넣지 않습니다.

떡을 올릴 때도 붉은 팥을 쓰지 않고 흰 고물을 내서 사용합니다.


- 제사 음식은 짜거나 맵거나 현란한 색깔은 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설에는 밥 대신 떡국을 놓으며 추석 때는 밥 대신 송편을 놓아도 됩니다.


- 삼적에도 의미를 두는데... 석잔의 술을 올릴때 마다 바닷고기인 어적, 네발짐승인 육적,

두부나 갖가지 야채꽂이로 만든 야채적을 올리면서 자연이 내린 음식을 고루 맛보게 하기 위함.


- 삼색나물의 경우 흰색은 뿌리나물이라하여 도라지를 쓰고, 검은색은 줄기로 고사리를 사용합니다.

푸른색은 잎나물로 미나리를 쓴고, 뿌리는 조상을, 줄기는 부모를, 잎은 나를 상징합니다.

 

3, 추석음식에 담긴 영양 및 조상의 지혜

 

 

 

추석음식으로는 송편, 토란국을 주축으로 하여, 닭찜, 가리 찜, 빈대떡, 송이산적, 나박김치, 삼색나물(도라지, 고사리, 시금치) 생선전, 쇠고기 적, 한과, 햇과일 등이 올라가는데 모두 제철 재료를 사용한 음식들이라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하고, 5가지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져서 보기에도 먹기에도 좋은 음식들로 오방색이 골고루 들어간 음식입니다.


추석의 대표적인 음식인 송편을 보면 우리 조상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데, 송편은 그 이름부터 다른 찐 떡과는 달리 솔잎과 함께 쪄 내므로 송병(松餠) 또는 송엽병(松葉餠)이라고도 부르는데 솔잎을 송편과 송편사이에 깔고 찌면 떡에 솔잎의 향이 자욱하게 배어들어 은은한 솔향기와 함께 가을 산의 정기를 한껏 받아 소나무처럼 건강해 진다고 여겼으며, 떡에 있는 소나무 무늬도 아름답죠.

또한 은은한 솔잎향이 더위가 가시지 않은 음력 8월에 떡을 오래 동안 부패하지 않고 신선하게 먹을 수 있었습니다.

이를 보아도 솔잎을 이용한 조상들의 지혜를 느낄 수 있겠죠?!

 

차례상은 영양학적으로 아주 완벽에 가깝습니다.

고기와 생선의 단백질, 국물재료에 쓰이는 다시마의 칼슘, 전과 적에서는 양질의 지방 등 정성을 다해 만든 음식으로 차례를 지낸 후 먹는 술과 안주는 평소에는 잘 먹지 못하는 영양학적으로 완벽한 식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제사용으로 준비하는 음식은 예로부터 소금 간을 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양념문화가 발달하기 이전에 제사문화가 굳어졌기 때문이라는 설과 가능한 모든 음식을 옛 자연의 맛에 가장 가깝게 만들었고, 귀신이 붉은 색을 싫어한다는 의미에서 붉은색인 고춧가루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추석음식>


- 송편: 멥쌀을 주재료로 하고 그 속에 소로 깨, 콩, 밤 등의 견과류가 들어가서

탄수화물과 함께 부족할지 모르는 단백질과 견과류의 불포화지방을 상호보충하였다


차례상에 올라가는 음식의 의미

 

대 추

왕이 될만한 후손이 나오라는 뜻이다.
대추가 지니고 있는 깊은 의미를 아는 집안은 ("왕" "도인" "성현")이 나올 수 있다.

대추는 태양이 속해있는 대 은하계 모형을 나타낸 것이므로 진설상에 있어서 으뜸이다.

 

밤은 三 정승이 나오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밤은 3알이 한 밤송이가 된다.

가운데 있는 밤은 "영의정" 오른쪽에 있는 밤은 "우의정" 좌측에 있는 밤은 "좌의정" 이라는 의미가 되며 밤송이 1개(1석)속에 3톨(3극)에는 각기 특유의 기질을 가지는 5기가 들어 있으며 바로 그 五 氣는 인간의 성질을 나타낸다.
첫 째: 가시는 내유 외강의 성질(추진력)
둘 째: 껍질은 단단하고 강한 기질(방어력)
세 째: 껍질 속의 털은 포근함을 나타낸다.(보호력)
네 째: 속 껍질의 떫은맛은 인생살이의 떫은 맛(인내력)
다섯째: 속 알의 고소한 맛은 깨달음의 참 맛을 나타낸다.
(중화,깨달음)

 

감은 씨가 6개로 六조 판서의 서열을 의미한다.
집안에 육조판서 감이 나오는 정도를 점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씨가 6개인 것은 천부경의六생 七 八 九운의 육감세계를 나타낸 것으로 우리 몸의 물리적 몸의 작용 즉 오감세계를 벗어난 영적인 의미를 말한다.

 

사 과

사과는 자비, 사랑을 뜻하며 모양이 하트형으로 "사랑"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그 집안의 화목과 사랑의 정도를 알아보는 방법으로 쓰이기도 한다.
사과의 모양은 우주의 五기가 생성되어 돌아가는 모형이며 사랑하는 마음(+플러스) 발상 등이 영적 성장을 하는 의미이다.

 

배는 색깔이 황금색으로 깨달음 집안의 정신적인 성장정도를 알아보는 측도이다.

배는 수분이 많으며 이 수분은 지혜를 의미한다.
지혜로운 삶을 살아서 깨달음의 정신으로 가라는 뜻으로 황금색은 깨달음의 색 오행의 土에 해당하고 숫자로는 5,10, 土, 중앙, 중용, 완성의 뜻이 있다.

 

호 두

우리의 뇌를 의미한다.
호두는 지혜가 발달되고 영특하며 뛰어난 자손이 되라는 의미이다.
머리가 영특해야 깨달음에 이르고 깨달음에 밝아야 훌륭한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 식

다식은 우주의 五 行을 의미하고 그 다식의 문양은 五 氣의 작용을 도식화 시킨 것으로 가정의 가족간 합심.

이별, 파괴, 결합, 재물, 후손의 출산 등을 의미하고 이것이 작용하는 의미를 알아 보고자 꿀물에 재료를 버무려 가지고 다식을 찍는데 그때 잘 만들어 지는 것과 부서지는 것을 가지고 한해동안 집안의 운세를 점치는데 사용하게 했던 것이다.

 

은 행

은행은 비행접시 우주선을 의미한다.
앞에서 말한 대로 머리가 영특하고 지혜로우면 그들이 과학을 발달 시키게 되고 과학의 발전으로 우주세계를 향해 나아가게 된다는 인류(지구)역사를 알려 주고자 했던 성현들의 가르침이다.

 

포 도

조직을 의미한다.

한송이에 많은 열매 등이 달려 있어서 이것은 조직을 뜻한다.
집단, 조직, 국가,등을 의미하며 이런 문화를 알리기 위해서는 정비가 잘된 많은 조직들이 있어야 된다. (각 과일들도 각기 뜻이 있다.)
첫 번째 과일 줄이 개인의 성장과 조직구성을 의미한다면, 두번째 줄은 운동으로 문화를 바꾸어가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시금치

시금치는 道 를 구하는 마음을 지금 이 시간부터 주저하지 말고 행하라는 의미 입니다.

 

도라지

도(道)를 알아라는 뜻이다.
도를 알지 -> 돌아지 -> 도라지道(도,도) 我(나,아) 知(알,지) (나를 알아가는 도를 말함)
고사리가 일이라면 도라지는 일의 목적을 나타낸다.
도를 알지 운동이다. (도를 알지=나를 알아가는 도)

 

콩나물

콩은 깨달음을 의미한다.
한알의 콩속에 두쪽으로 되어 있는 것은 도에는 음과 양이 있다는 뜻이고 이 콩에서 발이 나온 것은 도를 펼쳐지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콩나물에 잔발이 많이 달리면 道를 구하는 일심에서 다른 마음을 먹으면 안된다는 의미에서 콩나물에 잔발을 다듬어 주는 것이며 또한 콩나물에서 콩껍질을 벋기는 이유는 도의 본체가 어떻게 되어 있나를 살펴보라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고사리

이치에 닿는 높은 사고의식으로 일을 하라는 의미이다.
고사리는 하늘로 뻗어가는 기운의 모습을 하고 있다.그러면서도 손의 모습과 흡사하다.

그래서, 고사리손 즉 일의 시작을 의미한다.
고사리(高事理)는 높은 이치가 담긴 일을 한다는 뜻이며 고사리의 모양은 하늘 세계로 기운이 피어 오르는 모습을 하고 있듯이 옛날 유물 또는 벽화에서 보아도 고사리 모양 문형이 많이 그려져 있다.
이것은 氣의 발생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숙주나물

숙주나물은 음식이 빨리 변하는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道를 구하는 마음이 숙주나물처럼 변할까 염려되어 경각심을 주기 위함입니다.

하늘 마음은 일시적이고 한순간 생각하는 작심에 불과할까 두려워 경계의 마음을 전해주는 것입니다.
도(道)는 일생을 바쳐서 얻어지는 것도 아니고 수많은 겁생을 통해 구해도 구해지기 힘들 정도의 인생사의 최고의 가치 기준입니다.


명 태

인류 진화를 의미함. (지구 최초의 생명은 바다에서 시작)
우리의 영은 하늘에서 왔고 우리의 육체는 땅에서 왔으며 땅에서 온 이 육체는 지구 최초에 기에서 미생물이 발전, 진화하여 어류, 육류로 진화 인간의 몸을 형성해 나왔음을 알려주는 성현들의 가르침이다.

 

문 어

도의 원리를 알려주는 것으로 깨달음 원을 닮은 머리와 문어발 10개는 천기의 흐름의 종류로서 천(天)간(干) 10干을 의미한다.
발에 달린 별 모양의 접착구(빨판)는 하늘의 별들을 의미하며 문어 발을 칼로 오려주는 것은 기운의 흐름을 표현할 문양이며 구름 연기 같은 기운이 피어나는 모습을 형상화 한 것이다.

 

오징어

원방각의 원리를 설명한다. (로켓을 의미함)
살아서 움직이고 먹물을 쏘면서 도망가는 오징어는 마치 로켓발사의 모습이며 발에 붙은 접착구(빨판) 역시 별을 의미한다.

 

탕 (天,地,人)

3탕을 많이 쓴다.

탕은 기본 되는 三탕 또는 五탕을 두며 삼탕은 天, 地, 人을 의미하고 五탕은 오행(五行)을 의미한다.

옛말에 빈곤함에 제사를 못 모실 경우라 하더라도 삼탕은 놓고 제를 올리라.

그래도 어려우면 정한수라도 떠올리라 하였다.
水는 하늘의 생명수이고 우주 근원의 초기 생명이다.
탕은 나열의 어, 육, 체로 되는데 우리 육체가 어류에서 진화하여 기류동물로 진화 발전하고, 농법을 이용하고 정착 농경 생활이 발달해 왔다는 간편한 우리의 역사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떡에는 종류가 상당히 많다.

먼저 설 명절의 대표적인 가래떡에 대해서만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가래떡이란 혼의 성장세월의 의미이며 혼이란 뿌연색을 지니게 되기 때문에 혼백을 모시는 지방을 쓸때에도 뿌연 문종이에 쓰듯이 이 색깔과 유사한 색깔이 쌀(곡기)이며 곡기란(기운을 저장하고 있다)라는 의미다.

우리는 흔히 허기진다라는 말을 많이 하듯이 허기란 기가 허하다 기가 없다라는 의미인데 기가 비어서 허하면 곡기로 배를 채워야 기운이 되살아 난다.

가래떡은 혼의 세월이 긴 세월을 통해 성장한다는 의미를 전하기 위해 가래떡을 길게 뽑는 것이다.
세월 흐름을 하루 또는 한해를 표현한 것이 가래떡을 썰어서 만든 떡이며 이 떡꾹을 먹게 되면 나이를 먹는다고 하는데 나이란 세월을 뜻하는 것으로 그 세월은 혼의 성장 세월이다.

 

신위神位(아버지는 왼쪽, 어머니는 오른쪽)가 계신 곳은 항상 북쪽이며,

이에 기준하여 1열에 촛대(양쪽), 수저그릇, 만두(=밥), 송편, 국, 술잔, 찻잔을 놓습니다.
이때 놓는 방향은 상 차리는 사람이 보아

좌측에 만두(=)밥, 술잔(찻잔), 가운데에 수저그릇, 우측에는 국, 송편 등을 놓습니다.

 


(고서비동考西非東, 반서갱동飯西羹東)이는

음양의 이치를 따른 것으로 살아 생전과 반대의 위치가 됩니다.

 

 

1. 과실 중 복숭아는 제사에 쓰지 않는다.

(복숭아는 요사스런 기운을 몰아내고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전해진다.)
2. 생선 중에 '치'로 끝나는 꽁치, 멸치, 갈치, 삼치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3. 제사 음식은 짜거나 맵거나 하지 않고, 현란한 색깔은 피하는 것을 원칙이다.
4. 고춧가루와 마늘은 사용하지 않는다.
5. 추석에는 밥 대신 송편을 놓으며 설 때는 밥 대신 떡국을 놓아도 된다.